팬더뉴스01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 고전 시문학과 여행 이야기 확인하기 본문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 고전 시문학과 여행 이야기 완벽 가이드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는 EBS 세계테마기행에서 방영된 중국 고전 시문학 전문 프로그램으로, 총 시리즈 중 두 번째 여행편이에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김성곤 교수가 안내하는 이 시리즈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총 10시즌에 걸쳐 제작되었습니다.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의 특별한 매력과 방송 배경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 고전 시문학과 여행 이야기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고전 시문학 해설의 깊이와 전문성
김성곤 교수는 서울대학교 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중국 고전문학 전문가예요. 특히 두보시 연구에서는 국내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어요. 그가 1992년부터 시작한 두보 시 독해는 무려 33년이라는 긴 세월에 걸쳐 이어지고 있어요.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에서 가장 인상적인 건 바로 한시를 노래하듯 읊는 그의 독특한 해설 방식이에요. 한시를 단순히 문자로만 접근하지 않고 음악적 요소까지 살려내는 거죠. 이런 방식으로 한시를 해석하면 시의 운율감과 감정이 훨씬 생생하게 전달되더라고요.



더욱 놀라운 건 김 교수의 방대한 한시 암송 실력이에요. 그는 두보의 시만 해도 수백 편을 암송할 수 있을 정도로 중국 고전문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요.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에서는 이러한 전문성이 고스란히 드러나죠.
실제 여행지와 한시의 만남
중국한시기행 2의 가장 큰 특징은 한시가 탄생한 바로 그 현장을 직접 찾아가는 거예요. 단순히 스튜디오에서 책을 읽으며 해설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시인들이 걸었던 길을 따라가며 그들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해요.
예를 들어 이백의 시를 해설할 때는 그가 실제로 머물렀던 호수나 산을 찾아가요. 그곳의 풍경을 보며 왜 이백이 그런 시를 썼는지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되는 거죠. 두보의 경우에도 그가 유랑하며 겪었던 고난의 현장들을 직접 찾아가 시 속에 담긴 깊은 의미를 되살려내요.



제가 실제로 프로그램을 보면서 가장 감동받았던 부분이 바로 이거였어요. 한시를 읽는 것과 그 한시가 탄생한 현장에서 듣는 건 정말 천지차이더라고요. 풍경 속에서 들리는 한시는 마치 시간을 뛰어넘어 시인과 직접 대화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줘요.
중국한시기행 2에서 다룬 주요 시인과 작품 세계



이백과 두보의 시 세계 재발견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뤄지는 건 역시 이백과 두보예요. 이 두 시인은 당대 문학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죠. 하지만 각자의 성격과 시 세계는 완전히 달라요.
이백은 '시선(詩仙)'이라 불릴 만큼 자유분방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시인이에요. 그의 시는 마치 하늘을 나는 듯한 기분을 주거든요. 김 교수는 이백의 시를 해설할 때 특히 그의 술에 대한 사랑과 자연에 대한 동경을 강조해요. "月下獨酌(월하독작)"같은 작품에서 보이는 이백만의 낭만적 정서를 정말 멋지게 풀어내죠.



반면 두보는 '시성(詩聖)'이라 불리며 현실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줘요. 그의 시에는 백성들의 고통과 사회 모순에 대한 안타까움이 담겨 있어요. 김 교수가 두보 전문가인 만큼 두보의 시 해석은 정말 압권이에요. "茅屋為秋風所破歌(모옥위추풍소파가)"를 읽을 때는 정말 눈물이 날 정도로 감동적이었어요.
특히 인상적인 건 김 교수가 이백과 두보의 우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룬다는 점이에요. 이 두 거대한 시인이 만나 함께 여행하며 시를 주고받았던 이야기는 정말 로맨틱하더라고요. 김성곤 교수의 강연에서도 이런 내용들을 들을 수 있어요.
소동파와 도연명의 철학적 사유

중국한시기행 2에서는 송대의 대문호 소동파와 동진 말기의 은둔 시인 도연명도 다뤄요. 이 두 시인은 시간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삶에 대한 철학적 접근에서는 많은 공통점을 보여줘요.



소동파는 정치적 좌절을 겪으면서도 문학적 성취를 이뤄낸 인물이에요. 그의 "赤壁賦(적벽부)"는 단순한 서정시가 아니라 인생과 우주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긴 철학적 작품이에요. 김 교수는 소동파의 작품을 해설할 때 그의 낙관적 세계관과 유머 감각을 특히 강조해요.
도연명은 관직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가 자연과 더불어 살았던 시인이에요. "歸園田居(귀원전거)" 연작은 자연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소박한 삶의 가치를 노래한 작품들이죠. 김 교수는 도연명의 시를 통해 현대인들이 잃어버린 여유와 정신적 풍요로움에 대해 이야기해요.
특히 흥미로운 건 김 교수가 이 두 시인의 술에 대한 애정도 함께 다룬다는 거예요. 소동파와 도연명 모두 술을 즐겼던 시인들이거든요. 하지만 소동파의 술은 호방함과 연결되고, 도연명의 술은 은일과 연결돼요. 같은 술이라도 시인의 성격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되는 거죠.



김성곤 교수만의 독특한 한시 해석 방법론



음률과 감정의 조화로운 해석
김성곤 교수의 한시 해석에서 가장 독특한 건 바로 음률을 살린 낭송이에요. 한시는 원래 노래로 불려졌던 문학 형태거든요.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대부분 문자로만 읽히고 있어요. 김 교수는 이런 한계를 뛰어넘어 한시 본연의 음악성을 되살려내려고 해요.
실제로 그가 한시를 읊는 걸 들어보면 마치 전통 가곡을 듣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평측(平仄)의 조화와 운율의 변화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거든요. 이렇게 읊으면 한시의 감정이 훨씬 생생하게 전달돼요. 슬픈 시는 정말 슬프게 들리고, 호쾌한 시는 가슴이 뛸 정도로 시원하게 들려요.
근데 이건 단순히 목소리 톤의 문제가 아니에요. 김 교수는 각 글자의 성조까지 정확하게 살려서 읊거든요. 중국어의 성조 변화가 한시의 리듬감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걸 아는 거죠. 김성곤 교수의 저서에서도 이런 음률 해석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어요.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건 김 교수가 두보의 "春望(춘망)"을 읊는 거예요.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라는 첫 구절부터 가슴이 찡해져요. 나라는 망했지만 산과 강은 그대로 있다는 절망감이 음성에 고스란히 담겨 있거든요.
역사적 배경과 시적 상상력의 결합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 고전 시문학과 여행 이야기에 대해 더 알고싶은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두보의 시를 해석할 때는 안사의 난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두보 개인의 유랑 생활을 함께 고려해요. 그래서 "新安吏(신안리)", "石壕吏(석호리)" 같은 작품들이 단순한 서정시가 아니라 당대 사회상을 반영한 사회 고발 문학이라는 걸 명확히 보여주죠.


이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예요. 그의 자유분방한 시 세계 뒤에는 현실 정치에서 소외된 지식인의 좌절감이 숨어 있어요. "將進酒(장진주)"의 호방함 속에는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 있거든요. 김 교수는 이런 이중적 의미를 정말 섬세하게 풀어내요.
특히 인상 깊은 건 김 교수가 현대적 관점에서 고전을 재해석하는 부분이에요. 천 년 전 시인들의 고민이 현대인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걸 보여주거든요. 사랑의 아픔, 이별의 슬픔, 인생의 무상함 같은 보편적 주제들이 시대를 초월해서 공감을 이끌어내는 거죠.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 고전 시문학과 여행 이야기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특히 김 교수가 강조하는 건 한시를 통한 인문학적 소양의 중요성이에요. 중국의 지도자들이 지금도 한시를 인용하며 자신의 뜻을 전달한다는 건 한시가 단순한 고전이 아니라 살아있는 문화라는 걸 보여줘요. 김성곤 교수의 강의에서는 이런 현대적 의미까지 함께 다뤄요.
결론적으로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는 단순한 여행 프로그램이 아니라 고전 문학의 새로운 해석 방법을 제시하는 교육 콘텐츠예요. 한시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새로운 재미를 발견하게 해주는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특히 인문학에 관심이 있거나 중국 문화를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정말 추천할 만한 프로그램이에요.
앞으로도 이런 수준 높은 교양 프로그램들이 계속 제작되길 바라요. 김성곤 교수 같은 진정한 학자들이 대중과 소통하며 고전의 가치를 전달하는 건 정말 소중한 일이거든요. 고전이 결코 낡은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는 열쇠라는 걸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라고 할 수 있겠어요.
볼만한 글









